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

로컬창업 큐브 운영

로컬창업 큐브 운영

기본방향
  • 로컬자원을 활용한 창업으로 지역의 특색있는 브랜드 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
  • 골목길 비즈니스 로컬플레이어 양성으로 머물고 싶은 지역 정주형 창업 활성화

성과지표
  • (교육부) 창업기업 수, 창업기업 매출액
  • (강원) 창업교육 운영 실적

추진주체
  • 주관기관 : 일반대학, 전문대학 (※단독형 또는 컨소시엄형)
  • 참여기관 : 대학, 시·군, 혁신기관, 기업 등

추진기간
  • 2025년~2029년(5년)

주요 추진내용
주요 추진내용
필수과제 주요내용(예시)
로컬창업큐브 인프라 구축
  • 대학과 지역 특성화 콘텐츠 기반 로컬창업 비즈니스 모델 창출
  • 로컬아이템 창작과 쉬운 창업 지원을 위한 무인 창업 놀이터 팹랩 운영
  • 지역 커뮤니티 공유, 청년 창업 애로 해소 등 원스톱 창업지원 창구 운영
로컬창업 역량강화
  • 지역 기반, 지역 특성에 맞는 로컬 창업 활성화
    • 동계올림픽 유산 레저스포츠, 스마트 농업, 친환경 시그니처 특산물, 접경지 DMZ 향토 먹거리, 폐광 자원, 해양자원 활용 등
  • 맞춤형 창업 프로그램 운영
    • 대학이 없는 시군 창업 교육(이동식 교육, 유·초·중·고 비즈쿨 기업가 정신 교육 등)
  • 지역 내 창업가 정신 확산을 위한 창업보육 매니저 양성과 창업 지원관 운영
  • 로컬 창업교육, 로컬 크리에이터, 로컬 디자이너 인재 양성과 로컬 샌드박스 운영
로컬창업 문화확산
  • 지역 혁신기관 협력을 통한 창업문화 확산
    • 로컬창업 글로벌 파트너십 운영, 로컬 원정대 교류회, 로컬살롱 포럼, 아이템 발굴 로컬창업캠프, 외국인 창업 강좌, 창업동아리 등 지원
  • 로컬자원 기반 창업 워케이션, 휴양형·체류형 아이템 개발 운영 등 지역대학 연합 공동 창업 지원
  • 창업기숙사, 창업동아리 룸, 제품 스튜디오, BI 리뉴얼, 메이커스페이스 등 창업 특화 캠퍼스 지원

지자체 역할
  • (인프라) 기업 하기 좋은 도내 산업생태계 조성
  • (창업역량 강화) 청년창업자금 무이자 대출, G스타트업 청년창업, 강원 로컬벤처기업 육성 등 청년정착 지원
  • (창업문화확산) 창업지원 협력체계 구축, 창업지원 정책자금 연계, 창업지원협의체 운영

기대효과
  • 로컬창업 생태계 운영으로 대학 창업문화 조성과 지역 정주형 일자리 창출
최종수정일 : 2025-04-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