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업허브대학인프라 구축 |
- 지역 선도 창업 허브 대학과 참여대학을 연계하는 거점 창업 인프라 구축
- 첨단전략·지역특화산업 연계 글로벌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
- 창업 기초-준비-실행-성장 유망기업 발굴 기술사업화 지원
- 시제품 제작, 제품 디자인, 기술 디자인, 투자 연계 등
- 기술창업 프로그램, 기술창업 스카우터, R&D 자금 지원, 석·박사 실험실 창업 스쿨, 글로벌 창업캠프 등 지역창업 선도 지원
|
기술창업 역량강화 |
- 창업 랩 중심 교원·학생 기술창업 캠퍼스 운영
- 창업 전 단계 역량을 강화하는 예비 창업스쿨 아이디어 랩 운영
- 창업 과제 공동 기획·연구개발을 위한 디자인 랩 운영
- 창업 애로 해소를 위한 창업 교수, 창업 지원관 지정 운영
- 창업 교육·보육 통합시스템 구축 등 창업 전주기 지원
- 기술창업 교과목 개발, 비교과(창업특강, 해커톤 등) 융복합 창업 교육 지원
- 기술창업 AtoZ(창업 트렌드, 아이템 발굴, 팀 빌딩, 자금조달, 사업계획서, 경진 대회, 예비창업패키지 연계) 등 전공지식 기반 아이템 발굴 사업화 실전창업 지원
-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, DX 제품 스튜디오, 창업인큐베이터 등 창업지원 환경 개선
|
산학연계 창업문화 확산 |
- 학생·교원·도민 창업문화 조성으로 기술창업 활성화
- 연구실험실 창업, 교원 창업포럼, 기술사업화 인큐베이팅, 아이템 검증 등 창업역량 강화
- 교원 창업인사제도(휴·겸직제, 업적평가, 창업 연수제) 등 학사제도 개편
※ 창업장려금, 창업 대체 학점제, 창업 휴학제, 창업인턴제, 창업융합 전공, 창업특강, 창업동아리 육성, 마이크로디그리 등
- 지·산·학·연 협력을 통한 창업 스크럼 지원
- 지식재산, 산학협력, 기술이전, 입주기업 지원, 투자 IR, 창업박람회, 스타트업 자문단 운영
- 외국인 유학생 창업스쿨, 글로벌 스타트업 멘토링, 글로벌시장 진출 스케일업 지원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