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

지역 취업·정주형 특성화 대학 육성

지역 취업·정주형 특성화 대학 육성

기본방향
  • 학사 구조 개편 및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취업·정주형 특성화 대학 기반 마련
  • 지역수요 맞춤형 대학 특성화로 지역 취업·정주형 기술인재·현장실무인재 육성

성과지표
  • (교육부) 지역 내/외 취업자 수
  • (강원) 강원전략산업·일자리 수요맞춤 교육 운영 실적

추진주체
  • 주관기관 : 일반대학 또는 전문대학

추진기간
  • 2025년 ~ 2029년(5년)

주요 추진내용
주요 추진내용
필수과제 주요내용(예시)
지역수요 맞춤형 인재양성
  • 취업·정주형 특성화 중심대학 운영
    • 특성화 대학 추진을 위한 조직, 인력, 제도 마련 등
    • 학사구조 유연화 및 고도화(융합대학원, 미래융합가상학과, 마이크로디그리 등)
    • 기업연계형 캡스톤디자인 및 PBL교과 운영으로 산학연 교육과정 고도화 및 문제해결능력 강화
  • 기업협업센터 및 지역협력센터, 기술지주회사 등 혁신자원 연계
  • 지역특화 분야 연계 융복합 전공 개발·운영 등 융합형 인재 양성
    • 자연과학, 공학, 인문, 사회, 문화, 예술 등 지역 수요 연계
      ※ 글로컬대학의 유연한 학사 지원모델 공유·확산
    • (강원대-강릉원주대) 멀티캠퍼스 기반 지속가능한 공동교육과정 운영
    • (한림대) 학생중심 창의융합교육(전공트랙 조합 및 융합전공 설계) 운영
일반대
(기술인재형)
  • 연구 중심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혁신
    • 첨단산업 대응을 위한 분야별 석·박사 집중육성 및 산학협력 R&D 지원
    • 석·박사 연구원 학점인정형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확대
전문대
(현장실무형)
  • 지역사회 수요 기반 현장실무형 인재양성 과정 운영
    • 현장실무능력 인증 프로그램, 현장실습 프로그램 등 신설 및 운영
    • 산업체 전문가 참여 교과목 개설 및 운영(전문가 특강, 실습지도 등)
채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
  • 기업요구형 채용연계 계약학과 개설 및 운영을 통한 지역정주형 인재 양성
  • 진로탐색, 현장실습학기제, 인턴십 등 채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 강화
초중등 연계 프로그램 운영
  • 지역 우수인재 조기 발굴 육성을 위한 초·중등 연계 시스템 구축
    • 초·중·고교-대학-지역기업을 연계하는 거버넌스 구축
    • 진로체험, 고교 학점제 연계, 디지털(AI, 빅데이터 등) 교육과정 운영
  • 10개 시군 교육발전특구(미래산업, 의료, 웰니스, 돌봄 등) 연계 추진
인프라 지원
  • 기술고도화를 위한 산학협력 실험 실습 기자재 및 교육환경 개선
  • 지역 인재양성 거버넌스 체계 구축(지자체, 대학, 교육청, 혁신기관, 기업 등)

지자체 역할
  • (제도화) 지역산업 기반 우수인재 조기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조례 제·개정
  • (정주지원) 청년 일자리 발굴 및 정주여건 개선
  • (기업연계) 맞춤형 계약학과 및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지원

기대효과
  • 지역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산업 균형 발전
  • 첨단산업 기술인재·현장실무인재 육성으로 산업인력 미충원 해소 및 지역 정주율 제고
최종수정일 : 2025-04-03